혀나의 놀이터

바카(ばか,馬鹿)라는 말.. 흔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빠가라고 발음하곤 하지만.. 일본어 전혀 못하는 사람도 아는 '바보'라는 일본 욕이다.. '빠가야로'라고 하기도 함..
그러나 이 일본 욕이.. 중국 고사성어에서 유래했다는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음.

'지록위마'라고.. 쵸큼은 난이도가 있는 고사성어인데.. ^^;

: 가리킬 지
鹿 : 사슴 록
: 할 위
: 말 마

《사기()》 〈진시황본기(〉에 전한다.

조고()가 모반을 일으키려 하였다. 그러나 여러 신하들이 따라주지 않을 것이 두려웠다. 이들을 시험하기 위해, 사슴을 2세 황제에게 바치면서 말하였다. “이것은 말입니다.” 2세 황제가 웃으며, “승상이 잘못 본 것이오. 사슴을 일러 말이라 하오?” 하였다[ 鹿 鹿]. ]
진나라 시황제가 죽자, 환관 조고는 거짓 조서를 꾸며 태자 부소()를 죽이고 어린 호해()로 2세 황제를 삼았다. 호해는 “천하의 모든 쾌락을 마음껏 즐기며 살겠다.”고 말했을 정도로 어리석었기 때문이다. 조고는 이 호해를 이용하여 경쟁 관계에 있던 승상 이사()를 비롯한 많은 신하들을 죽이고 승상의 자리에 올라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그러자 역심이 생긴 조고가 자기를 반대하는 중신들을 가려내기 위해 이와 같은 행동을 하였던 것이다. 호해가 말을 마치고 좌우의 신하들을 둘러보자, 잠자코 있는 사람보다 “그렇다.”고 긍정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아니다.”고 부정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조고는 부정하는 사람들을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죄를 씌워 죽였다. 그 후 궁중에는 조고의 말에 반대하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이후로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자기 마음대로 휘두르는 것을 비유할 때 이 고사가 흔히 인용되었다. 이것이 요즘에 와서는 그 뜻이 확대되어 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 남을 속인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머;; 이런것도 무단 전재인가?;;;)
-----------------------------------------------------------------------
바카는 말과 사슴을 말하는 것으로.. 말과 사슴도 구분 못하는 멍청이를 이를 때 쓰는 말로 발전하게 되었다..
저속한 욕이.. 이렇게 고상한 유래를 담고 있을 줄이야.. 왠지 너무 위화감이 들어서 그 때부터 빠가라는 말을 하기가 꺼려진다.. ^^; 고려청자를 요강으로 쓰는 느낌? ^^;

Posted by 혀나